본문 바로가기

경제

국무총리실 압수수색 검찰 조직도

반응형

18일 오후 국무총리실 민정실 압수수색을 마친 검찰 관계자들이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을 나서고 있다. 청와대와 경찰의 '하명수사·선거개입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은 김기현 전 울산시장 첩보 생산 과정을 추적하기 위해 이날 국무총리실 민정실을 압수수색하고 문모 사무관의 업무 관련 기록과 PC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앞서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부장 김태은)는 1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 4층 국무총리실 민정민원비서관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김기현 전 울산시장 관련 제보의 가공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국무총리실을 압수수색했다. 해당 제보를 받아 문건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문모 사무관의 업무 관련 기록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문 사무관은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으로 근무 중이던 지난 2017년 10월 송병기 울산시장 경제부시장으로부터 김 전 시장 측근 비리 의혹을 제보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과 자유한국당 곽상도 의원 등에 따르면 송 부시장이 제보한 4쪽짜리 문건이 청와대 민정수석실과 경찰청을 거쳐 울산지방경찰청에 하달되는 과정에서 일부 비리 의혹이 추가·삭제되고 죄명과 법정형이 덧붙여지는 등 가공된 정황이 포착됐다눈것이다.


검찰은 수사관 출신인 문 사무관이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실 '윗선'의 지시를 받아 첩보 문건을 생산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검찰은 지난 5일 문 사무관을 한차례 불러 제보 접수 경위 등을 조사했다. 이날 압수수색에 대해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기자들을 만나 "입장을 내지 않겠다. 수사 중인 사안은 언급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검찰 국무총리실 압수수색 조직도 

반응형
교차형 무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