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중국 흑사병 관련주 증상 치료 원인 영향 폐스트

반응형

13일 중국에서 흑사병 확진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식투자 카페, 커뮤니티 등에서는 흑사병의 원인이 되는 생쥐 관련 산업이나 흑사병 치료에 쓰이는 페니실린 관련 기업들이 이른바 '흑사병 관련주'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져 증권가에서는 '흑사병 관련주' 찾기에 나서는 투자자들이 늘어났다.

페스트 혹은 흑사병은 페스트균(Yersinia pestis)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감염병으로  페스트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전염병으로 전염성이 강하고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설치류에 기생하는 벼룩에 의해 사람에게 주로 전파되며 간혹 환자의 기침 분비물·배설물로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는 경우도 있다.

페스트균(Yersinia pestis)은 흑사병의 원인균으로  페스트균에 감염된 쥐에 기생하는 벼룩이 쥐의 피를 빨아먹는 동안 페스트균에 감염되고, 이 벼룩에 사람이 물리면 페스트균에 감염된다. 드물게 폐렴형 흑사병에서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페스트균 전파가 가능하다.

흑사병 증상으로는 갑작스런 발열 및 전신 증상이 특징이며 증상에 따라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사람에게 발병하는 경우 그 정도가 다양해서 가벼운 증세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이다. 경증인 경우에는 거의가 림프절페스트이지만 패혈성페스트나 폐페스트는 대개 증세가 심해 치료하지 않으면 치사에 이른다. 잠복기는 보통 3~6일 정도이지만 짧게는 36시간, 길게는 약 10일이 되기도 한다. 발병은 갑작스럽고 시작부터 증세가 확실하다. 림프절페스트가 전체의 3/4을 차지하는데, 전형적으로 떨림이 맨 처음에 나타나고 뒤이어 구토·두통·현기증 등이 나타나며 빛을 견딜 수 없게 되고 등과 사지에 통증이 생긴다.


수면부족, 감정의 둔화, 섬망 등도 나타난다. 체온은 갑자기 40℃ 이상까지 오르나 2~3일 지나면 1~2℃ 정도 떨어지며, 쇠약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보통 변비증상이 나타나는데 설사증상을 보이면 사망이 염려되는 심각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가장 두드러진 증상인 가래톳은 주로 서혜부나 겨드랑이에 나타난다.


림프절페스트는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전파되지는 않고 벼룩을 매개체로 해서만 전파된다. 폐페스트의 증상은 기관지폐렴과 동일한데 폐부종이 나타난 지 약 3~4일 후 사망한다. 패혈성페스트는 쇠약과 뇌손상이 특징으로 발병한 지 24시간 내에 사망한다. 많은 경우 패혈성페스트는 폐렴으로 진행되기 전에 사망하지만, 진행되는 경우 환자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상태가 되어 다른 사람과 접촉하면 폐페스트를 초래하게 된다.

흑사병의 치료는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 사망률이 높아지므로 의심을 하고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유행지역을 여행하고 돌아온 경우에 흑사병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의심해 보아야 한다.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하는데, 발병 초기에 치료를 시작해야 효과적이므로 조기에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페스트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는 겐타마이신(gentami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클로르암페니콜(chloramphenicol) 등 이있다.


흑사병의 역사를 보면  중국과 아시아 내륙에서 유래해 1347년 킵차크 군대가 크림에서 제노바 교역소를 포위하고, 페스트 환자의 시체들을 노포로 도시를 향해 쏘아보냄으로써 유럽인들에게 전파되었다. 흑사병은 지중해 항구들로부터 퍼져나가 1347년 시칠리아, 1348년 북아프리카·이탈리아·스페인·영국·프랑스, 1349년 오스트리아, 헝가리, 스위스, 독일, 베넬룩스 3국, 1350년 스칸디나비아와 발트 해의 국가들에 영향을 끼쳤다. 밀라노 공국, 플랑드르, 베른 같은 지역에서는 비교적 피해가 적었으나 토스카나·아라곤·카탈루냐·랑그도크 같은 지역에서는 그 피해가 심했다. 그당시의 문헌 연구에 따르면, 치사율은 지역에 따라 인구의 1/8~2/3 정도에 이르렀다.

흑사병은 1361~63, 1369~71, 1374~75, 1390, 1400, 1664~65년에 다시 유행했으며, 치사율은 지역마다 달랐으나 유럽 인구의 1/3 정도가 흑사병으로 사망했다고 한다.  1400년 영국 인구는 1300년 인구의 절반 가량이었으며, 영국에서만도 약 1,000개의 마을에서 인구가 감소했거나 마을 전체가 사라졌다. 대략적으로 추산해보면, 그당시 유럽에서 2,500만 명이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서유럽의 인구는 16세기가 되어서야 1348년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1664~65년에는 런던에서 크게 유행하여 46만 명의 인구 중 7만 명이 사망했다.중국의 광둥 지방과 홍콩에서는 1894년에 사망자수가 8만~10만 명에 달했고, 그 이후 20년 동안 중국 남부지역의 항구를 통해 전세계로 퍼져나가 모두 1,000만 명이 사망했다. 


한편 흑사병의 영향으로 전쟁이 중단되고 경작지가 급속히 줄어들었는데 이는 많은 노동자들이 죽었기 때문이었다. 그결과 많은 지주들이 파산했으며, 노동력의 부족으로 지주들은 소작인들의 노동력을 집세로 대신하거나 임금을 주어야만 했고 기술자와 소작농의 임금도 상승했다. 이러한 변화들로 인해 엄격한 사회계층구조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중국 흑사병 관련주 증상 원인 치료 페스트,흑사병,흑사병 관련주,흑사병 증상,흑사병 치료 영향 



반응형
교차형 무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