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추석날 지방쓰는법 추석 차례상이 화제다.13일 오전 포털사이트에 추석 지방쓰는법이 실시간 검색어로 올라왔다.
지방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쓴 뒤 '고인과 차례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신위(神位·신령의 자리로 설치된 장소)' 순으로 작성한다.
부친은 '상고할 고(考)', 모친은 '죽은 어미 비(妣)', 조부는 '조고(祖考)', 조모는 '조비(祖妣)', 증조 이상은 '증(曾)'자와 '고(高)'를 앞에 붙인다.
지방의 규격은 폭 6cm 정도, 길이 22cm 정도가 적당하며 한지(백지)를 사용한다. 위치는 고위(아버지)를 왼쪽,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쓴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중앙에 쓴다.
한자와 한글 모두 확인할 수 있다. 한자로 쓰는 것이 전통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쓰기도 한다.
글씨는 세로로 작성한다. 지방의 상단 모서리가 접히거나 잘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지방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쓴 뒤 '고인과 차례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신위(神位·신령의 자리로 설치된 장소)' 순으로 작성한다.
부친은 '상고할 고(考)', 모친은 '죽은 어미 비(妣)', 조부는 '조고(祖考)', 조모는 '조비(祖妣)', 증조 이상은 '증(曾)'자와 '고(高)'를 앞에 붙인다.
지방의 규격은 폭 6cm 정도, 길이 22cm 정도가 적당하며 한지(백지)를 사용한다. 위치는 고위(아버지)를 왼쪽,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쓴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중앙에 쓴다.
한자와 한글 모두 확인할 수 있다. 한자로 쓰는 것이 전통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쓰기도 한다.
글씨는 세로로 작성한다. 지방의 상단 모서리가 접히거나 잘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의 결혼식 결말 줄거리 영화 촬영장소 관객수 (0) | 2019.09.13 |
---|---|
정우성 나이 영화 이지아 염정아 (0) | 2019.09.13 |
암수살인 뜻 실화 실제사건 결말 줄거리 실제범인 (0) | 2019.09.13 |
미쓰백 실화 결말 줄거리 영화 권소현 후기 관객수 (0) | 2019.09.13 |
창궐 줄거리 웹툰 관객수 결말 킹덤 (0) | 2019.09.12 |